blog/black comments

탈고리즘.

Dunpeel 2025. 7. 24. 09:04

탈고리즘 (Talgorithm)

탈출 + 알고리즘, 알고리즘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를 처음 배울 때, 뭔지도 모르면서 그리던 순서도가 알고리즘 이다.

상황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문제처리 속도(효율성)에 맞춰 발전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부산까지 간다면. '도보<열차<항공기<순간이동' 으로.

알고리즘은 효유성은 높아지는 반면, 선택의 다양성은 생략되었다.

그리고 효율성에 사용자 맞춤성이 추가되면서, 알고리즘의 선택지는 보다 축소되었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맞춤형 선택지만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A 와 B 가 같은 키워드를 검색해도, 각자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된다.

A가 검색하면, A가 보고 싶은 것, 듣고 싶은 것, 가고 싶은 곳을.

B가 검색하면, B가 보고 싶은 것, 듣고 싶은 것, 가고 싶은 곳을.

 

이러한 효율적 맞춤형 알고리즘은

시작은 사용자를 위한 것이었으나, 제공자를 위한 알고리즘으로 변질되었다.

점차적으로 선택반경을 좁히며, 상업적 목적에 의해 사용자를 폐쇄된 환경에 가둔 것.

즉, 알고리즘이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감옥이 된 것이다.

정치, 사회, 문화, 교육 등, 사용자는 맞춤형 감옥안에서 유사 정보만을 보고 듣는다.

우파적 성향의 영상만을 시청하는 사람은 우파적 세계관만을 바라보며 살아가고,
좌파적 성향의 영상만을 시청하는 사람은 좌파적 세계관만을 바라보며 살아간다.
즉 현재 알고리즘은, 사용자 맞춤이라기보다 사용자 세뇌에 가깝다.

 

이에 사용자 맞춤이라 가장한 제공자 입장의 관리의 감옥에서 벗어날 필요를 갖게 된다.

이것이 알고리즘의 탈출, 탈고리즘이다.